당신의 일과 삶에 영감이 되어줄 이야기, 현재 가장 트렌디한 공간의 얽힌 소식을 가져왔습니다.
공간을 둘러싼 폭 넓고 깊이감 있는 놓쳐선 안될 소식을 큐레이팅하고, 새로운 관점을 전달합니다.
본문 중의 링크를 클릭해
숨어있는 정보들도 확인하세요!
공간에 얽힌 모든 소식을 전하다, SOSIC 소식.
지금 시작합니다!🔥
|
[리테일/트렌드]
1. 더 넓어지면 바뀌는 것들! - EQL GROVE 오픈
[마케팅/리테일]
2. 음악과 도시 향수를 느끼는 '바이레도 가로수길'
[건축/해외]
3. 이 건물 제가 살게요! SFMOMA X 도쿄캡슐타워 |
성수동에 문을 연 EQL의 두 번째 오프라인 공간 - EQL GROVE / 사진: ⓒSOSIC |
구독자님이 알아야 할 소식
💡SOSIC 트렌드 #1 :더 넓어지면 바뀌는 것들! - EQL GROVE 오픈
지난해 10월 더현대 서울 지하 2층에 처음 생겼던 EQL('한섬'의 자체 온라인 편집숍)의 첫 번째 오프라인 공간, "이큐엘 스테이션"에 이어 지난 4일 서울 성수동에 EQL의 두 번째 오프라인 공간이 문을 열었습니다! 계속 휘몰아치듯 바뀌고 있는 리테일/패션 분야의 공간트렌드 속에서 과연 이번 공간의 특별함은 무엇일까요?
|
👉 "진짜 복합공간" - EQL GROVE 오픈
EQL의 두 번째 오프라인 공간의 이름, 바로 EQL GROVE (이큐엘 그로브)입니다. '그로브'는 작은 숲을 뜻하는 단어인만큼 '플랜테리어', 즉 식물을 활용한 인테리어 디자인이 곳곳에서 눈에 띄죠! EQL GROVE의 공간 컨셉은 '에디토리얼 숲'의 컨셉으로서 다양한 브랜드와 새로운 콘텐츠가 함께 성장하는 공간이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그 오픈을 알린 첫 번째 테마는 바로 <YOUTH RQQM>인데요, YOUTH(젊음)를 위해 큐레이션한 패션, 라이프스타일 그리고 컬쳐를 만날 수 있는 공간으로, 성수의 중심에서 문화와 세대, 패션을 융합할 수 있는 하나의 공간으로 나아가고자 한다고 하죠.
|
전시적 요소와 감각적인 인테리어가 돋보이는 EQL GROVE의 디스플레이 / 사진: ⓒSOSIC |
2층 전체는 현재 '오픈와이와이'와 첫 번째 팝업 매장 운영 중 / 사진: ⓒSOSIC |
👉 "공간이 더 넓어지면 바뀌는 것들" - EQL GROVE, 어떤 전략일까?
EQL GROVE는 대형매장으로 분류될 수 있는 규모로 문을 열었습니다! 1층은 280평, 2층은 200평이며 2층의 테라스도 70평 가량 되죠. 그런데 눈에 띄는 점은, 이렇게 규모가 클 뿐만 아니라 규모를 크게 가져가면서 동시에 특별한 행보를 보여주고 있는 것인데요!
EQL GROVE의 면적은 1,653㎡ (500평)에 이릅니다. 1층과 2층 각각 팝업 전용 공간이 있고, 다양한 컨셉의 인테리어-디스플레이가 각각의 ZONE(구역)마다 다르게 펼쳐지고 있죠. 최근 "전시"의 성격이 강해지고 있는 리테일 공간트렌드와 결을 같이 하며, 매력적인 비주얼의 쇼룸/매장은 물론이고 카페 공간까지 마련됐습니다.
EQL GROVE는 넓은 매장 안에서 보여줄 수 있는 A부터 Z까지 모두를 여유있게 품어내고 있습니다.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는 패션/리테일 공간트렌드의 큰 흐름이 이어지면서도 한편, 큰 규모의 공간만이 가질 수 있는 포용력과 진짜 복합공간의 면모를 보여주는 듯 하죠.
|
플랜테리어 요소들과 인스톨레이션(기계적 설치장비)를 활용한 쇼잉 / 사진: ⓒSOSIC |
최근 작은 '실' 규모로 많이 이루어지는 팝업공간은 큰 규모의 EQL GROVE 공간 중 1층에 충분히 품는 것을 보여주며, 또 '층 전체' 규모의 팝업 또한 2층에서 수용하고 있습니다. 리테일 쇼룸의 성격이 전시나 디스플레이 특화로 경험적 요소를 중요하게 두는 방향으로 바뀌고 있는 추세와 더불어 EQL은 충분한 내부 공간 안에서 다양한 인테리어, 나아가 기계적 장치들을 활용하여 '쇼잉 (Showing)'에서도 강력한 면모를 보여주고 있죠. |
작은 규모의 팝업 콘텐츠를 충분히 담아내는 넓은 규모의 1층 공간 / 사진: ⓒSOSIC
|
한 층 전체가 현재 팝업 콘텐츠로 운영되고 있는 2층 공간 / 사진: ⓒSOSIC
|
EQL GROVE는 이후에도 다양한 팝업 콘텐츠를 바꾸어 가며 진행할 것이며, 이외에도 다양한 브랜드 & 새로운 콘텐츠들이 계속해서 선보여질 수 있도록 한다고 하니, 확실히 풍부한 공간 내에서 보여줄 수 있는 많은 테스트들이 이루어질 수 있는 실험적 공간이 될 수 있지 않을까요? |
*
단지 공간의 규모만 키우는 것이 아닌, 규모의 여유를 통해 EQL GROVE는 모든 것을 품으며, 어쩌면 앞으로 가능한 모든 시도들을 꿈꾸는 것 아닐까요? |
구독자님을 위한, 인사이트 총정리!
📌여기서 눈여겨봐야 할 SOSIC.
-
단순히 넓은 규모의 공간을 가진 것을 넘어, 여유로운 규모 내에서 새로운 콘텐츠와 융합하는 복합공간으로서 리테일/패션 분야의 공간트렌드를 보여주는 듯 합니다! 매번 바뀌는 팝업, 눈에 띄는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매장, 카페 등으로 새로운 경험과 변화를 보여줄 예정이죠. 💬
- EQL GROVE의 공간은 '에디토리얼 숲'이라는 컨셉으로 다양한 브랜드와 새로운 콘텐츠가 함께 성장하는 공간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리테일 공간이 단순한 판매 장소가 아니라 콘텐츠와 브랜드의 융합과 협업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장소가 되어야 한다는 시대적 요구와 일치하죠. 💬
|
바이레도 X AOMG - '바이레도 가로수길' / 사진: ⓒAOMG
|
구독자님이 알아야 할 소식
💡SOSIC 트렌드 #2 :음악과 도시 향수를 느끼는 '바이레도 가로수길'
바이레도가 AOMG와 만나 특별한 공간을 만들었습니다. 바로 플레이리스트 음악과 함께 즐길 수 있는 공간과 제품이죠. 플레이리스트와 함께 경험하게 되는 이 공간은 바이레도의 제품을 구매하고 동시에 음악과 예술의 아름다움을 누릴 수 있는 특별한 장소가 되었다고 하는데요. AOMG 아티스트들과의 협업한 바이레도의 공간. 어떤 이야기를 담고 있을까요?
👉 공간의 깊이가 한층 더 짙어진 비법 _ '플레이리스트'
바이레도는 AOMG의 뮤직 콘텐츠 'AOMIX'와 함께 믹싱 플레이리스트 콘텐츠를 만들어, 현대적인 바이레도의 아름다움을 후각과 시각 뿐만 아니라 청각인 음악을 통해 공간을 '입체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화이트 배경에 세련된 금속 실버 선반, 그리고 쨍한 컬러의 테이블과 의자, 예술 작품들로 가득한 바이레도 가로수길점에 '도시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리드미컬한 플레이리스트'라는 테마와 노래 컨셉를 부여했어요. 공간에 어울리는 쿨하고 펑키한 노래들로 가득 채워 공간의 깊이를 한층 더 짙게 만든 것이죠.
|
컬러감이 강한 테이블과 의자, 예술 작품들로 꾸며진 내부 / 사진: ⓒSOSIC
|
👉 잘 맞는 음악으로 기억하는 브랜드와 공간의 특성
일반적으로 브랜드 매장을 오픈하면 공간, 브랜드에 어울리는 음악을 선곡하고 재생합니다. 여기서 주목해야할 점은 공간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지에 따라 플레이리스트의 특성은 크게 달라진다는 것입니다. 일반적인 '뷰티제품 판매 공간'의 경우 주로 재즈나 잔잔한 음악과 같이 제품에 집중하는 음악을 흐르게 합니다. 그러나 '바이레도 가로수길' 점은 공간의 위치적인 특성부터 하나씩 고려하며 음악 마케팅을 진행했습니다.
가로수길에는 딥디크, 바이레도, 르라보와 같은 니치 향수 스토어가 위치하고 있어 가로수길 하면 어느새 '니치 향수거리'를 떠올리게 되었죠. 따라서 고유한 위치를 고려하여, 단순히 고급스러운 제품을 구매를 하는 공간이 아닌 '도시 향수' 를 불러일으키는 공간을 추구하였고 그에 걸맞게 도시적인 바이레도에서 영감을 받은 리드미컬한 플레이리스트를 구성하게된 것입니다. 결과적으로, 바이레도 브랜드와 공간의 성향, 아티스트들의 유기적인 결합으로, 바이레도 공간이 예술과 음악이 어우러진 곳으로 탈바꿈하게 되었습니다! |
👉 브랜드 공간의 정체성을 음악으로 드러내는 방법
바이레도 가로수길과 같이 특정 공간에 어울리는 플레이리스트는 브랜드의 정체성과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특정 음악 장르나 스타일은 브랜드가 원하는 이미지와 공간의 분위기를 간접적으로 나타내어 고객들에게 브랜드의 메세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때문이죠. 더 나아가, 이제는 분위기를 담아내는 음악뿐만 아니라 브랜드의 공간 정체성에 대한 메시지를 배경 음악을 통해 표현하기 시작하였습니다!
*
음악과 함께 기억되는 브랜드와 그 공간. '도시 향수'를 불러 일으키는 바이레도의 음악 마케팅은 브랜드와 가로수길의 정체성을 아름답게 어우러뜨린 결과를 만들어냈습니다! 그리고 그 공간과 결부된 음악 경험과 브랜드 경험, 공간 음악 마케팅이 방문객들에게 가장 중요한 가치 경험 중 하나로 자리 잡게 되었죠. |
구독자님을 위한, 인사이트 총정리!
📌여기서 눈여겨봐야 할 SOSIC.
-
공간을 지배하는 음악은 놀랍게도 같은 공간이라도 그 공간의 인상을 완전히 바꿀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배경음악이 인테리어의 진정한 완성이라고 불리기도 하죠. 이로 인해 전문 음악 컨설턴트와 유튜버, 그리고 공간 음악 전문가들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
- 브랜드 공간 내에서 공간과 어울리는 음악을 듣는 행위는 브랜드와 방문객 사이의 취향과 분위기를 공유하게 할 수 있습니다. 음악이라는 매개체로 공간과 사람을 이어줌으로서 방문객과 공간, 그리고 브랜드 사이에 공감대가 형성되는 것이죠! 💬
|
구독자님이 알아야 할 소식
💡SOSIC 트렌드 #3 :이 건물 제가 살게요! SFMOMA X 도쿄캡슐타워
지난 2023년 5월 18일, 샌프란시스코 미술관(SFMOMA)은 1972년 도쿄의 긴자에 위치했던 상징적인 나카긴 캡슐 타워로부터 캡슐을 구매한 최초의 미술관이 되었습니다! 미술관이 건축물을 구매했다니, 상징적인 캡슐 타워가 어떤 창조적인 공간으로 변화 될까요?
👉 SFMOMA가 구매한 건축물이 뭐야?
샌프란시스코 미술관은 도쿄의 대표적인 작품이였던 캡슐타워를 구매했습니다. 캡슐타워는 건축가 쿠로카와 키쇼(Kisho Kurokawa)의 초기 프로젝트 중 하나로, 140개 직육면체 캡슐을 각각 11, 13층 규모로 쌓아 두 동으로 블럭이 층층이 쌓인 듯한 모양을 하고 있는 타워입니다! 침대, 화장실, 수납장으로 구성되어 있는 소형 주거 캡슐로 25년마다 캡슐을 교체한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었죠. 신박한 아이디어로 일본 '메타볼리즘(Metabolism·건물도 유기적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한다는 건축사조)'의 대표작으로 떠올랐었죠. |
일본 메타볼리즘의 대표작이였던 나카긴 캡슐 호텔
|
하지만 25년 주기로 변경, 또는 유닛을 이동한다는 계획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따랐습니다. 그 후, 시간이 지날수록 노후화와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계속해서 대두되면서 철거하기로 결정했던 것이죠! 2022년 10월 5일에는 도쿄시가 중앙 타워와 대다수의 캡슐을 철거했지만 보존, 복원 프로젝트의 노력으로 23개의 유닛은 성공적으로 보존되었습니다.
👉 철거 후 남은 캡슐의 운명은 어떻게 될까요?
건축을 유지하기 위해 노후 부분을 교체하면서 생명을 연장하기로 계획했지만 아쉽게 무산되었던 캡슐 프로젝트는, 다른 의미로 생명을 연장하게 되었습니다! 나카긴 캡슐 타워 건물 보존 및 복원 프로젝트는 올해 초에 "캡슐 리뉴얼 프로젝트"를 착수하여 거주 유닛의 건축적 기능을 새롭게 활용하기 위한 이니셔티브를 시작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이전에 철거된 나카긴 타워에서 23개의 캡슐을 성공적으로 이전하고, SFMOMA와 같은 박물관, 갤러리, 상업 시설에서 전시하고, 또한 일본과 해외에서 숙박 시설로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죠.
|
사진: ⓒNakagin Capsule Tower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Project
|
그리고 2023년 4월부터는 보존된 캡슐들이 공개적으로 관람될 수 있도록 전시가 시작되었습니다! 그리고 보존 프로젝트의 수장 마에다 타츠유키, SFMOMA를 비롯한 캡슐 타워 보존에 기여한 주요 핵심 인물들은 캡슐 타워에서 분리된 나머지 23개의 캡슐이 오늘날 어떤 새로운 의미와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 탐구하고 있죠! 추후 프로젝트 팀은 캡슐의 유닛들이 샌프란 시스코 뿐만 아니라 여러 나라에 배치할 것이며 숙박, 야외 전시, 전시와 판매, 공연 이벤트가 열리는 전혀 새로운 용도를 가진 공간으로 탈바꿈 할 것이라고 해요!
*
수명을 다하는 건축물의 또 다른 시작과 함께, 다음 단계의 발전을 도모하고 있는 프로젝트. 과거의 유산을 존중하고 현대에 살아 숨쉬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는 멋진 프로젝트이죠!
건축의 문화적 가치를 확장함 뿐만 아니라, 지속가능성 또한 염두하며 진행하는 이 프로젝트 - 과거의 건축물을 단순히 보존하는 것을 넘어서, 그것들을 새로운 용도와 의미로 재해석하고자 하는 창의적인 노력입니다.
|
구독자님을 위한, 인사이트 총정리!
📌여기서 눈여겨봐야 할 SOSIC.
|
SOSIC 에디터's
-
공간을 가장 잘 아는 사람들이 모여 만듭니다.
다채로운 공간에 얽힌 모든 소식을 전합니다.
공간트렌드 뉴스레터 SOSIC
문의/제안_ sosic.official@gmail.com
|
이번 주도 SOSIC 소식과 함께 해주셨군요!
고맙습니다🙏
마음에 드셨다면 친구와 동료에게
|
좋았던 점과 아쉬웠던 점, 그리고 전하고 싶은 말들을 아래 버튼을 통해 알려주세요!
구독자님의 진심어린 피드백을 통해 더 발전하는 SOSIC이 되겠습니다. |
뉴스레터를 구독하시면,
SOSIC 홈페이지보다 먼저 여러분의 메일함으로 전달됩니다.
|
매주 만나는 SOSIC 소식,
아직 구독 전이라면? |
공간에 얽힌 모든 소식을 전하다,
SOSIC
sosic.official@gmail.com
Copyright . SOSIC / All rights reserved.
|
|